청주 경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청주 경씨는 고려 명종 때 조위총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운 경진을 시조로 하는 성씨이다. 경진의 아들 경대승은 무신정권 시기 정중부를 제거하고 정권을 장악했다. 고려 고종 때 호부상서를 지낸 경번을 1세조로 하며, 경복흥은 고려 공민왕 때 문하시중을 역임하고 청원부원군에 봉해졌다. 조선 시대에는 경보가 개국공신에 책봉되었고, 경의는 회군공신으로 평양윤을 겸했다. 청주를 본관으로 하며, 경대승, 경복흥, 경보, 경의 등 고려와 조선 시대의 인물들을 배출했다. 현대에는 경청호, 경대수, 경계현 등이 있다. 청주시 상당구 지북동에 시조묘역이 있으며, 항렬자를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청주 경씨 | |
---|---|
성씨 정보 | |
성씨 | 청주 경씨 |
한자 표기 | 淸州 慶氏 |
관향 | 충청북도 청주시 |
시조 | 경진(慶珍) |
중시조 | 경번(慶蕃) |
집성촌 | 경기도 여주시 파주시 연천군 |
주요 인물 | 경대승 경사만 경복흥 경의 경유공 경준 경세창 경세인 경혼 경섬 경최 경성회 경청호 경만호 경대수 경계현 |
년도 | 2015 |
인구 | 12,474명 |
나라 | 한국 |
2. 역사
고려 명종 때 조위총이 서경(지금의 평양)에서 반란을 일으키자, 시조 '''경진'''(慶珍)이 이를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워 중서시랑평장사가 되었다. 경진의 아들 경대승은 1179년 무신 정권 때 정중부를 살해하고 정권을 장악했다.[1]
이후 세계가 실전되어 고려 고종 때 호부상서를 지낸 경번(慶蕃)을 1세조로 하고 있다. 경번의 손자 경사만(慶斯萬)은 충숙왕비 명덕태후의 조카딸과 혼인하여 우대언(右代言)이 되었다.
경사만의 아들 경복흥(慶復興)은 고려 공민왕 때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역임하였고, 청원부원군(淸原府院君)에 봉해졌다.
경복흥의 장자 경보(慶補)는 조선 개국공신에 책봉되어 찬성사(贊成事)에 이르렀고, 차자 경의(慶儀)는 회군공신(回軍功臣)에 녹훈되고 서북면병마도절제사(西北面兵馬都節制使)로 평양윤(平壤尹)을 겸하였다.
2. 1. 시조 및 고려 시대
고려 명종 때 서경(지금의 평양)에서 조위총이 반란을 일으키자, '''경진'''(慶珍)은 이를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워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가 되었다. 경진의 아들 경대승은 1179년 무신 정권 때 정중부를 살해하고 정권을 장악했다.[1]이후 경진 이전의 세계(世系)는 실전(失傳)되어, 고려 고종 때 호부상서를 지낸 경번(慶蕃)을 1세조(一世祖)로 하고 있다. 경번의 손자 경사만(慶斯萬)은 충숙왕비 명덕태후의 조카딸과 혼인하여 우대언(右代言)이 되었다.
경사만의 아들 경복흥은 고려 공민왕 때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역임하였고, 청원부원군(淸原府院君)에 봉해졌다.
2. 2. 조선 시대
경복흥의 장자 경보(慶補)는 조선 개국공신에 책봉되어 찬성사(贊成事)에 이르렀고, 차자 경의(慶儀)는 회군공신(回軍功臣)에 녹훈되고 서북면병마도절제사(西北面兵馬都節制使)로 평양윤(平壤尹)을 겸하였다. 조선 왕실과의 인척관계로는 숙신옹주(정종의 차녀)의 사위 경유순(慶由淳)이 있다.[2]조선시대 과거 급제자는 다음과 같다.
3. 인물
3. 1. 고려
3. 2. 조선
3. 3. 현대
4. 본관
충청북도 중서부에 있는 시이다. 마한의 땅이었다가 백제 시대에 상당현(上黨縣)이라고 하였다. 685년(신라 문무왕 5) 서원소경(西原小京)을 두었고, 757년(경덕왕 16) 서원경(西原京)으로 승격하였다. 940년(고려 태조 23) 청주(淸州)로 지명을 고쳤고 983년(성종 2) 청주목이 된 뒤 995년(성종 14)에는 절도사를 두었다. 1012년(현종 3)에 안무사로 바뀌었다. 1018년에 전국에 8개 목(牧)을 설치함에 따라 다시 청주목이 되고, 양광도(楊廣道)에 소속되었다. 1310년(충선왕 2)에 청주는 주(州)로 강등되었다가 1356년(공민왕 5)에 다시 청주목으로 복구되었다. 《세종실록지리지》에 충청도 청주목의 토성(土姓)으로 한(韓)·이(李)·김(金)·곽(郭)·손(孫)·경(慶)·송(宋)·고(高)·준(俊)·양(楊)·동방(東方)·정(鄭) 12성이 기록되어 있다. 1896년에 충청북도 청주군이 되었고, 1946년에는 청주부(淸州府)로 승격하였다가 청주시로 개칭되었다.
5. 문화재
청주 경씨 시조묘역(淸州慶氏 始祖墓域)은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지북동 산32-2에 있는 청주시의 향토유적 제148호이다.
6. 항렬자
16세 | 17세 | 18세 | 19세 | 20세 | 21세 | 22세 | 23세 | 24세 | 25세 | 26세 | 27세 | 28세 | 29세 | 30세 | 31세 |
---|---|---|---|---|---|---|---|---|---|---|---|---|---|---|---|
상(祥) | 시(時) | 대(大) | 중(重) | 호(浩) | 현(顯) | 구(九) | 근(根) | ||||||||
휴(休) | 선(善) | 성(星) | 문(文) | 윤(允) | 식(植) |
참조
[1]
간행물
고려사 권100 열전 권제13
http://db.history.go[...]
[2]
인물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