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청주 경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청주 경씨는 고려 명종 때 조위총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운 경진을 시조로 하는 성씨이다. 경진의 아들 경대승은 무신정권 시기 정중부를 제거하고 정권을 장악했다. 고려 고종 때 호부상서를 지낸 경번을 1세조로 하며, 경복흥은 고려 공민왕 때 문하시중을 역임하고 청원부원군에 봉해졌다. 조선 시대에는 경보가 개국공신에 책봉되었고, 경의는 회군공신으로 평양윤을 겸했다. 청주를 본관으로 하며, 경대승, 경복흥, 경보, 경의 등 고려와 조선 시대의 인물들을 배출했다. 현대에는 경청호, 경대수, 경계현 등이 있다. 청주시 상당구 지북동에 시조묘역이 있으며, 항렬자를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주 경씨 - 경대수
    경대수는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한 법조인 출신 정치인으로, 검사로서 대검찰청 마약조직범죄부장 등을 역임하고, 새누리당 소속으로 19대와 20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국회 및 당내 주요 직책을 맡았으나 아들의 병역 면제 논란이 있었다.
  • 청주 경씨 - 경진호
    경진호는 문예극장과 실화극장에서 활동한 성우였으며, 1991년 음주운전 차량에 치여 사망하면서 사회적으로 음주운전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청주 경씨
성씨 정보
성씨청주 경씨
한자 표기淸州 慶氏
관향충청북도 청주시
시조경진(慶珍)
중시조경번(慶蕃)
집성촌경기도 여주시
파주시
연천군
주요 인물경대승
경사만
경복흥
경의
경유공
경준
경세창
경세인
경혼
경섬
경최
경성회
경청호
경만호
경대수
경계현
년도2015
인구12,474명
나라한국

2. 역사

고려 명종 때 조위총서경(지금의 평양)에서 반란을 일으키자, 시조 '''경진'''(慶珍)이 이를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워 중서시랑평장사가 되었다. 경진의 아들 경대승은 1179년 무신 정권 때 정중부를 살해하고 정권을 장악했다.[1]

이후 세계가 실전되어 고려 고종 때 호부상서를 지낸 경번(慶蕃)을 1세조로 하고 있다. 경번의 손자 경사만(慶斯萬)은 충숙왕비 명덕태후의 조카딸과 혼인하여 우대언(右代言)이 되었다.

경사만의 아들 경복흥(慶復興)은 고려 공민왕문하시중(門下侍中)을 역임하였고, 청원부원군(淸原府院君)에 봉해졌다.

경복흥의 장자 경보(慶補)는 조선 개국공신에 책봉되어 찬성사(贊成事)에 이르렀고, 차자 경의(慶儀)는 회군공신(回軍功臣)에 녹훈되고 서북면병마도절제사(西北面兵馬都節制使)로 평양윤(平壤尹)을 겸하였다.

2. 1. 시조 및 고려 시대

고려 명종 때 서경(지금의 평양)에서 조위총이 반란을 일으키자, '''경진'''(慶珍)은 이를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워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가 되었다. 경진의 아들 경대승은 1179년 무신 정권 때 정중부를 살해하고 정권을 장악했다.[1]

이후 경진 이전의 세계(世系)는 실전(失傳)되어, 고려 고종 때 호부상서를 지낸 경번(慶蕃)을 1세조(一世祖)로 하고 있다. 경번의 손자 경사만(慶斯萬)은 충숙왕비 명덕태후의 조카딸과 혼인하여 우대언(右代言)이 되었다.

경사만의 아들 경복흥고려 공민왕문하시중(門下侍中)을 역임하였고, 청원부원군(淸原府院君)에 봉해졌다.

2. 2. 조선 시대

경복흥의 장자 경보(慶補)는 조선 개국공신에 책봉되어 찬성사(贊成事)에 이르렀고, 차자 경의(慶儀)는 회군공신(回軍功臣)에 녹훈되고 서북면병마도절제사(西北面兵馬都節制使)로 평양윤(平壤尹)을 겸하였다. 조선 왕실과의 인척관계로는 숙신옹주(정종의 차녀)의 사위 경유순(慶由淳)이 있다.[2]

조선시대 과거 급제자는 다음과 같다.

조선시대 과거 급제자[2]
문과무과생원시진사시역과의과


3. 인물

3. 1. 고려


  • 경대승(慶大升, 1154년 ~ 1183년): 고려의 무신.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 경진(慶珍)의 아들이다. 15세에 음서(蔭敍)로 교위(校尉)에 임명된 뒤 벼슬이 올라 장군이 되었다. 1179년(고려 명종 8) 정중부(鄭仲夫) 등을 제거하고 정권을 장악하였다. 도방(都房)을 설치하고 문관과 무관을 고루 등용하여 무신정변으로 와해된 조정의 질서를 회복하려 했으나 1183년 30살의 나이로 병사하였다.
  • 경사만(慶斯萬): 충숙왕의 비 명덕태후(明德太后)의 조카딸과 혼인하여 1321년(충숙왕 8) 좌부대언이 되고, 1324년에 우대언(右代言)이 되었다.
  • 경복흥(慶復興, ? ~ 1380년): 경사만의 아들. 공민왕 때 군부사(軍簿司)판서로 등용되고, 추밀원(樞密院)판사·참지문하정사(參知門下政事)를 역임하였으며, 기철(奇轍)을 숙청한 공으로 1등 공신에 책록되었다. 1360년(공민왕 9) 홍건적을 물리친 공으로 진충동덕협보공신(盡忠同德協輔功臣)이 되었으며, 평장사(平章事)·수문하시중(守門下侍中)에 올랐다. 1363년 최유(崔濡)가 덕흥군(德興君)을 추대하여 군사 1만을 이끌고 침입하자, 서북면도원수가 되어 최영(崔瑩) 등과 함께 이를 물리치고 좌시중이 되었다. 1365년(공민왕 14)에 수시중(守侍中)이 되고 청원부원군(淸原府院君)에 봉해졌다. 시호는 정렬(貞烈)이다.
  • 경보(慶補, 1323년 ~ 1406년): 경복흥의 장자. 고려 말에 밀직부사, 도순문사, 판자혜부사(判慈惠府事) 등을 지내고 조선개국 2등공신에 책봉되어 검교 의정부좌정승(檢校議政府左政丞) 찬성사(贊成事)에 이르렀다. 시호는 양정(良靖)이다.
  • 경의(慶儀, ? ~ 1395년): 경복흥의 아들. 1377년(우왕 3) 4월 밀직부사로서 서경도순문사 겸 서북면부원수(西京都巡問使兼西北面副元帥)가 되고, 1390년(공양왕 2) 4월 전원주등처병마절제사(前原州等處兵馬節制使)로서 무진회군공신(戊辰回軍功臣)에 녹훈되었다. 1393년 참찬문하부사(參贊門下府事)로서 회군2등공신(回軍二等功臣)에 녹훈되고, 서북면병마도절제사(西北面兵馬都節制使)로 평양윤(平壤尹)을 겸하였다. 시호는 순절(順節)이다.

3. 2. 조선


  • 경보(慶補, 1323년 ~ 1406년) : 경복흥의 장자. 고려 말 밀직부사, 도순문사, 판자혜부사(判慈惠府事) 등을 지냈고 조선 건국 후 2등공신에 책봉, 검교 의정부좌정승(檢校議政府左政丞) 찬성사(贊成事)를 역임했다. 시호는 양정(良靖)이다.
  • 경의(慶儀, ? ~ 1395년) : 경복흥의 아들. 1377년(우왕 3) 밀직부사로서 서경도순문사 겸 서북면부원수(西京都巡問使兼西北面副元帥)를 지냈다. 1390년(공양왕 2) 전원주등처병마절제사(前原州等處兵馬節制使)로서 무진회군공신(戊辰回軍功臣)에 녹훈되었다. 1393년 참찬문하부사(參贊門下府事)로서 회군2등공신(回軍二等功臣)에 녹훈되고, 서북면병마도절제사(西北面兵馬都節制使) 겸 평양윤(平壤尹)을 역임했다. 시호는 순절(順節)이다.
  • 경유공(慶由恭) : 야인 정벌에 공을 세워 첨지중추부사에 올랐다. 1481년 경상도병마절도사, 1484년 영안남도병마절도사(永安南道兵馬節度使)를 역임했다.
  • 경준(慶俊) : 경유선(慶由善)의 아들. 음직으로 종2품 승사랑(承仕郎)에 올랐다. 1466년(세조 12) 강원도 문과별시에 아원(亞元)으로 급제, 승정원주서에 제수되었다. 예종 즉위 후 공조좌랑으로 승진했다. 1476년(성종 7) 사헌부장령, 1487년 우부승지·좌부승지 등을 거쳐 1489년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역임했다.
  • 경세창(慶世昌) : 1494년(성종 25)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했다. 중종 때 대사간, 도승지, 황해도관찰사, 한성부좌윤, 호조참판 등을 역임했다.
  • 경세인(慶世仁, 1491년 ~ ) : 1519년(중종 14) 현량과에 급제하여 정자·저작을 역임하고 박사가 되었으나, 기묘사화 때 파직되었다. 저서로 『경재유고(敬齋遺稿)』·『경연강독록(經筵講讀錄)』이 있다.
  • 경혼(慶渾, 1498년 ~ 1568년) : 경복흥의 7세손. 할아버지는 진산군수(珍山郡守) 경면(慶綿), 아버지는 지평 경세청(慶世淸)이다. 1533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1548년(명종 3) 대사간, 병조참의, 홍문관부제학을 역임했다. 이후 충청도관찰사, 예조·이조·호조·병조의 참의, 좌부승지를 거쳐 1561년 장례원판결사로 활동했다.
  • 경섬(慶暹, 1562년 ~ 1620년) : 경혼의 손자. 1590년(선조 23)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삼사의 요직을 두루 거쳤다. 1618년(광해군 10) 호조참판을 역임했다.
  • 경최(慶冣, 1626년 ~ 1688년) : 경섬의 손자이자 경유후의 셋째 아들. 1653년(효종 4) 별시문과에 을과, 1656년 문과중시에 병과로 급제했다. 정언(正言)·장령(掌令)·승지(承旨)·경기도관찰사·충청도관찰사 등을 거쳐 도승지를 역임했다.
  • 경성회(慶聖會, 1657년 ~ 1728년) : 경최의 아들. 1711년(숙종 37) 식년 문과에 급제하여 사헌부장령, 길주목사 등을 역임하고 승정원승지(承政院承旨)를 지냈다.

3. 3. 현대

4. 본관

충청북도 중서부에 있는 시이다. 마한의 땅이었다가 백제 시대에 상당현(上黨縣)이라고 하였다. 685년(신라 문무왕 5) 서원소경(西原小京)을 두었고, 757년(경덕왕 16) 서원경(西原京)으로 승격하였다. 940년(고려 태조 23) 청주(淸州)로 지명을 고쳤고 983년(성종 2) 청주목이 된 뒤 995년(성종 14)에는 절도사를 두었다. 1012년(현종 3)에 안무사로 바뀌었다. 1018년에 전국에 8개 목(牧)을 설치함에 따라 다시 청주목이 되고, 양광도(楊廣道)에 소속되었다. 1310년(충선왕 2)에 청주는 주(州)로 강등되었다가 1356년(공민왕 5)에 다시 청주목으로 복구되었다. 《세종실록지리지》에 충청도 청주목의 토성(土姓)으로 (韓)·(李)·(金)·(郭)·(孫)·경(慶)·송(宋)·(高)·준(俊)·(楊)·동방(東方)·(鄭) 12성이 기록되어 있다. 1896년에 충청북도 청주군이 되었고, 1946년에는 청주부(淸州府)로 승격하였다가 청주시로 개칭되었다.

5. 문화재

청주 경씨 시조묘역(淸州慶氏 始祖墓域)은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지북동 산32-2에 있는 청주시의 향토유적 제148호이다.

6. 항렬자

16세17세18세19세20세21세22세23세24세25세26세27세28세29세30세31세
상(祥)시(時)대(大)중(重)호(浩)현(顯)구(九)근(根)
휴(休)선(善)성(星)문(文)윤(允)식(植)


참조

[1] 간행물 고려사 권100 열전 권제13 http://db.history.go[...]
[2] 인물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